top of page

WEEK 24 MARKET NEWS

컨운임지수 9주 연속 상승…중동·동남아 두자릿수↑

동서아프리카를 제외한 노선에서 시황이 호조를 보이며 글로벌 컨테이너 운임지수가 9주 연속 올랐다.

상하이해운거래소에 따르면 6월7일 기준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전주 3044.77 대비 4.6% 오른 3184.87을 기록했다.

해양진흥공사는 “상하이, 칭다오, 싱가포르, 포트클랑 등 중국과 동남아시아 주요 항만에서 선박 대기시간이 길어지며 항만 혼잡이 심화되는 중”이라며 “주요 항만의 혼잡 심화는 현재 진행 중인 선박의 실질 공급 경색을 지속시키며 이미 높은 운임을 당분간 더욱 지지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상하이발 북미 서안행 운임은 40피트 컨테이너(FEU)당 전주 6168달러 대비 0.7% 인상된 6209달러로 6주 연속 오름세를 보였다. 북미 동안행 역시 전주 7206달러에서 3.3% 오른 7447달러를 기록, 서안과 마찬가지로 6주 연속 상승했다.

상하이발 북유럽행 운임은 20피트 컨테이너(TEU)당 전주 3740달러 대비 5.6% 오른 3949달러, 지중해행 역시 TEU당 전주 4720달러에서 1.4% 상승한 4784달러를 기록했다.

중동과 동남아시아행 운임은 두 자릿수의 상승률을 보였다. 상하이발 중동(두바이)행 운임은 TEU당 2542달러에서 12.3% 인상된 2855달러, 남아프리카(더반)행은 4824달러에서 7.9% 오른 5205달러, 동남아시아(싱가포르)행은 547달러에서 14.6% 상승한 627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반면, 동서아프리카(라고스)행 운임은 전주 6151달러 대비 0.1% 내린 6142달러를 기록하며 대조를 보였다.

6월10일 현재 한국발 운임지수(KCCI)는 4043으로 전주 3743과 비교해 8% 올랐다. SCFI와 마찬가지로 동남아시아행 운임이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FEU 기준 한국발 북미 서안 운임은 전주 5620달러에서 6% 인상된 5955달러, 동안 운임은 6765달러에서 5.1% 오른 7109달러를 각각 기록, 운임 상승을 이끌었다. 한국발 유럽행 운임도 전주 5740달러 대비 7.6% 오른 6174달러, 지중해행 운임은 6027달러 대비 8.6% 상승한 6544달러로 각각 집계됐다.

한국발 중남미 동안과 서안행 운임 역시 전주와 비교해 각각 5.5% 9.3% 오른 7824달러 6361달러를 기록했다.

이 밖에 중동과 동남아시아행 운임도 각각 3751달러 782달러를 기록, 전주 3503달러 648달러에서 7.1% 20.7% 급등했다.

<출처: 코리아쉬핑가제트 06.13.2024>

 

ree

 

세계 ‘컨’ 운임 작년보다 ‘202%’나 급등


해상 컨테이너 운임 상승세가 멈추질 않고 있다.

13일 기준 세계 컨테이너 평균 운임은 4,801달러/FEU로 전주대비 2%가 올랐다. 전년동기 대비 202%, 팬데믹 이전인 2019년 평균 운임 (1,420달러)보다 238%나 높은 셈이다. 앞으로 이같은 컨테이너 운임은 중국발을 중심으로 더욱 강세를 유지할 전망이다. 또 싱가포르 등 아시아 주요 항만들의 적체 현상도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올들어 지난 6월 13일까지 평균 운임도 3,443달러/FEU로 최근 10년 평균 운임인 2,736달러/FEU보다 707달러나 높은 수준이다.

상하이 → 제노아항로와 로테르담 → 상하이항로 운임도 각각 3%가 상승한 6,862달러와 661달러를 나타냈다. 상하이 → 로테르담항로와 뉴욕 → 로테르담항로도 2%가 각각 오른 6,177달러와 640달러를 기록했다.

상하이 → 로스앤젤레스항로와 상하이 → 뉴욕항로도 1%가 각각 상승한 6,025달러와 7,299달러를 나타냈다.

ree

<출처: 카고뉴스 06.16.2024>

 

 

美 볼티모어항, 11주 만에 정상화…교량 붕괴 잔해 5만t 제거

미국 메릴랜드주 볼티모어항이 교량 붕괴 11주 만에 통행을 정상화했다고 AFP통신이 11일 보도했다.

AFP에 따르면 미 육군 공병단과 해군 인양 잠수사들은 퍼탭스코강에서 잔해 약 5만t을 제거해 10일부터 항로가 정상화됐다. 이번 작업에는 육·해군 대원 약 2000명과 해상 크레인 12대 이상이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3월 26일 볼티모어항에서 스리랑카로 향하던 싱가포르 선적 컨테이너선 달리호가 출발 30분 만에 동력을 상실해 길이 2.6㎞ 대형 교량인 ‘프랜시스 스콧 키 브리지’와 충돌했다. 이 사고로 키 브리지가 붕괴됐으며 교량 보수 공사를 하던 노동자 6명도 목숨을 잃었다. 교량 잔해가 진입로의 210m가량을 가로막아 항구는 제한적으로 운영됐다.

볼티모어항은 대서양과 미국을 연결하는 미국 9대 수출입항이다. 미국 항구 중 승용차 및 소형 트럭 취급량에서 13년 연속 1위를 기록했다. 지난해에만 자동차와 소형 트럭 등 84만7000여 대가 볼티모어항을 오갔다.

메릴랜드주 당국은 교량 재건에 4년 이상이 걸리고 최대 19억달러(약 2조6200억원)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출처: 한국경제 06.12.2024>

 

 

미국 동부항만 노조도 파업하나…'사측과 대화 중단' 선언

미국 동부와 동남부 항만 노동자들이 가입해 있는 노동조합인 국제항만노동자협회(ILA)가 사용자 단체와의 대화 중단을 선언했다.

이에 따라 오는 9월 미국 대서양 연안 항구 노동자들의 파업 가능성이 커졌다.

ILA는 10일(이하 현지시간) 성명에서 항만운영사인 APM 터미널과 그 모회사인 세계 2위 해운사 머스크가 자동화 기술을 통해 노조원들의 노동력 없이 항만 터미널에서 트럭을 배치 운용하고 있음을 발견하고 새 노사 협정을 논의하기 위한 경영진 측과의 대화를 취소했다고 밝혔다.

ILA는 앨라배마주 포트 오브 모바일 항만에서 이 자동화 시스템을 확인했으며, 다른 항만에서도 사용 중일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ILA는 미 동북부 메인주부터 걸프만 텍사스주까지 미국 대서양 연안에 있는 14개 항구에서 근무하는 노동자 8만5천명이 가입된 북미 최대 노동조합으로 사측 연합인 미국해양협회(USMX)와 갈등이 있을 때마다 협상을 통해 노사 협약을 맺은 바 있다. 파업도 지난 1977년 이후 하지 않았다.

이에 비해 태평양 연안 항만 연합노조인 서부항만노조(ILWU)는 사용자단체 태평양선주협회(PMA)와 갈등으로 지난해에도 태업을 벌여 물류 적체 현상이 빚어진 바 있다.

해럴드 다겟 ILA 위원장은 발표문에서 "이제 다시 시작한다. 이는 사용자협회 구성원들이 일방적으로 우리의 노사 협약을 피해 나간 사례로 USMX와 ILA 간 계약을 명백히 위반한 것이며, 우리는 더 이상 이를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USMX의 주요 회사 중 하나가 자동화를 통해 우리 노조원들의 일자리를 제거하려고 계약을 위반하는 마당에 사측과 협상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머스크사 대변인은 CNBC에 이메일 성명을 통해 "APM 터미널은 ILA와 USMX 간 노사 계약을 완전히 준수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ILA가 자신들의 요구 사항에 대한 지렛대를 만들기 위해 진행 중인 협상의 세부 사항들을 공개하기로 결정한 것에 실망했다"면서 "우리는 ILA를 포함한 모든 이해관계자와 그들의 우려를 해결하기 위해 계속해서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ILA와 USMX 간의 노사 계약은 오는 9월 30일 만료된다.

ILA 측은 '자동화'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USMX 측과 만나지 않겠다고 밝혔다.

지난 2022~2023년 벌어진 서부항만노조의 노사 갈등과 태업으로 120억 달러 이상의 무역이 중단됐고 교착 상태에 빠진 컨테이너들을 정리하는 데 수개월이 걸렸다.

당시 서부 해안의 물류난을 피하기 위해 동부 항만으로 화물이 몰리면서 동부 항만 물류량이 크게 늘어났다.

<출처: 연합뉴스 06.11.2024>

 

 

“캐나다발 물류 공급망 위기 확산일로” ... 선사들 철도파업 우려 기항 취소 잇달아

“갈등 기간중 얼마동안은 고생을 하겠지만, 결국 양측이 합의에 도달할 확률이 높다, 노조 어느 쪽도 물류 공급망 혼잡이 장기화되는 것을 원하지 않기 때문이다.”불과 한 달 전 캐나다 철도노조가 5월중 파업을 하겠다는 발표가 나왔지만, 양측 갈등이 그리 오래가지는 않을 것이며 늦어도 6월 초를 전후해 협상이 타결될 것으로 예상하면서 시장 관계자들이 한 말이다.

그러나 6월 중순에 돌입하고 있지만, 캐나다 철도 노조 파업 우려는 글로벌 물류공급망 시장에서 가장 큰 이슈로 부상하고 있으며, 해결의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물론 아직 공식적으로 파업이 일어난 것은 아니고, 시장 현실에서 느끼는 어려움이 엄청난 파급효과를 보이는 것은 아니지만 이미 철도와 가장 밀접하게 연관된 해운시장은 파업에 준하는 행동을 개시하고 있다.

이는 파업 우려만으로 캐나다 철도 시스템이 무너지고 있다는 지적과 함께, 가장 중요한 화주와 선사들의 불확실성에 대한 걱정이 커지면서 항로 스케줄을 변경하는 등 적극적인 사전 대비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시장 관계자에 따르면, 이미 주요 환태평양 운항 선사들은 북미 캐나다의 주요 관문항인 벤쿠버와 프린스 루퍼트 기항을 취소하겠다고 발표하고 있다.

이는 파업이 일어날 확률을 높게 보기 때문이며, 긴장한 선사들은 이미 6월 중순 이후 스케줄에서 벤쿠버 기항을 생략하거나, 추가적인 빈항해 및 기항지 변경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해상 무역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eeSea는 최근 “24주차(9일) 이후 주요 선사들은 캐나다항구에서 미국 거점 항만으로 기항지를 변경한 건수가 14개 항구로 나타나고 있으며, 여기는 항구 우회를 포함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후 발표된 공식 선사 운항 스케줄을 보면 최소 31주타까지 벤쿠버에 기항이 예정된 선박은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관계자는 설명했다.

일부 선사들은 이미 예정된 벤쿠버 기항 스케줄을 일부 취소하고, 1번 또는 2번씩은 벤쿠버 기항에 비울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지난 한 달동안 무려 10건의 벤쿠버 결항이 발표된 것이다.

이에 따라 일부 시장 전문가들은 파업에 구체적이고 공식적으로 현실화될 경우 북미 전역에서의 공급망 혼란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출처: 카고프레스 06.12.2024>

 
 
 

댓글


KALTSTART LOGISTICS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중앙6로 70
매그넘797빌딩 1204호

Tel. +82-2-2135-3351

Fax. +82-2-2135-3357

  • LinkedIn

20220-서울강서-0827 통신판매업 | ©Created 2016 by KALTSTART LOGISTIC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