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9, LOGISTICS MARKET NEWS
- KALTSTART LOGISTICS

- 2022년 3월 15일
- 3분 분량
북미항로/ 천장 뚫린 서안운임…사상 첫 8000弗 돌파
북미 서안행 운임이 8000달러를 넘어서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중국 춘절(설) 이후 운임이 떨어지고 물동량이 감소하는 예년과 달리 북미항로는 강세 시황을 연출하고 있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물류대란 장기화가 북미 해운시장 판도를 뒤바꿔 놓았다.
상하이해운거래소가 발표한 2월18일자 상하이발 북미 서안과 동안행 운임은 40피트 컨테이너(FEU)당 8117달러 1만870달러를 각각 기록, 전월 7994달러 1만1729달러와 비교해 서안은 1.5% 오른 반면, 동안은 7.3% 하락하며 대조를 보였다. 1년 전 4106달러 4800달러에 견줘 98% 126% 각각 오른 수치다. 해양수산부에 신고된 한국발 로스앤젤레스(LA)행 공표 운임은 2월 현재 7400~2만3000달러로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뉴욕행 운임은 9200~2만2000달러로 나타났다.
북미 서안에 적체된 화물은 정점이던 지난해 10월에 비해 크게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다. 북미서안 항만당국은 장기적체료 부과 시점을 2월 말로 또다시 미뤘다. 지난해 11월 기업들에게 적용할 예정이었지만 반출 화물이 꾸준히 늘면서 수차례 연기를 결정했다. 롱비치항 관계자는 “지난해 10월 말 적체료 정책 발표 이후 적체 화물이 약 71% 감소했다”며 “상황을 지켜본 후 부과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시아발 북미행 바닷길은 혼잡이 여전히 극심하다. LA와 롱비치항 등에 정박하기 위한 선박은 1월 초 109척으로 정점을 찍은 뒤 최근 76척으로 줄었다. 다만 지난해 중국 춘절 당시인 40척보다는 여전히 많아 올 상반기 운임 하락은 없을 거란 게 해운업계의 시각이다. 아시아-북미 노선의 평균 운송시간은 지난해 11월 약 28일에서 최근 38일로 증가했으며, 서안 항만에 입항하기 위해 여전히 평균 15일 이상의 대기시간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물동량은 지난해 5월 이후 9개월 연속 플러스 성장을 일궜다. 미국 통관조사기관인 데카르트데이터마인에 따르면 올해 1월 아시아 10개국발 북미행(북미수출항로) 컨테이너 물동량은 전년 동월 대비 7% 증가한 177만1000TEU로 집계됐다.
1위 중국발 화물은 11% 증가한 109만1300TEU로 20개월 연속 증가했다. 2위 한국은 2% 증가한 16만7800TEU인 반면, 3위 베트남은 3% 감소한 13만1000TEU에 그쳤다. 일본은 3% 감소한 3만7000TEU로, 10위에 그쳤다.
지난해 12월 미국발 아시아행(북미수입항로) 물동량은 전년 동월 대비 10% 감소한 44만3800TEU에 그쳤다.
한편 일본 컨테이너선사 오션네트워크익스프레스(ONE)는 자국 화주를 지원하는 임시선박을 3척 편성했다. 첫 번째 임시선박은 2500TEU급 <발사>(BALSA)호로, 2월22일 나고야항에 기항했다. 2번째 임시선박인 300TEU급 <엔와이케이델피너스>(NYK DELPHINUS)는 3월9일 나고야, 3월10일 도쿄를 각각 출항할 예정이다. 행선지는 모두 LA와 오클랜드다.
이와 별도로 ONE은 북유럽 서비스에 취항 중인 8200TEU급 <원홍콩>(ONE HONG KONG)호를 FP1에 투입한다. 스케줄은 고베(3월5~7일), 나고야(3월7~9일), 도쿄(3월9~11일)에서 북미 서안으로 향하는 로테이션이다.
<출처: 코리아 쉬핑가제트>
美경쟁당국, ‘공급망 대란’ 담합조사 내륙물류로 확대
미국 경쟁당국이 공급망 대란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국민들을 보호하려고 해운시장에 국한돼 있던 담합 조사를 공급망 전반으로 확대한다. 첩보 동맹체 파이브아이즈를 구성하고 있는 영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와도 반경쟁 행위 감시 체제를 결성했다.
미국 법무부(DoJ)와 연방수사국(FBI)은 공급망 대란을 악용한 담합 공모 행위를 억제하고 수사·기소하는 대응책(이니셔티브)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미 경쟁당국은 천정부지로 치솟은 물류비를 해결하고자 개인 또는 기업 간 계약에서 입찰과 가격 담합, 시장분할 등 독점금지법 위반 사례가 있는지 조사하고 위법 사항이 발견되면 형사 처벌하겠다고 경고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발생한 전 세계적인 물류난으로 원자재 확보가 어려워지고 일상적인 비즈니스 활동이 타격을 받으면서 생산과 선적 비용이 증가하고 소비자 가격이 상승하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진단했다.
미 법무부 조너선 칸터(Jonathan Kanter) 반독점 차관보는 “일시적인 공급망 대란을 이유로 불법 행위가 은폐돼선 안 된다”며 “반독점부는 공급망 대란을 가장해 기업들이 소비자에게 바가지요금을 물리려고 담합하는 걸 용납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미 경쟁당국은 나아가 영국 경쟁시장국, 캐나다 경쟁국, 호주 경쟁소비자위원회, 뉴질랜드 상무위원회와 세계적인 공급망 담합을 조사하고 감시하는 실무그룹을 결성하기로 했다.
5개국 실무그룹은 코로나19로 발생한 공급망 대란을 악용해 가격 조작과 반경쟁 행위를 시도하려는 기업 정보를 개발하고 공유해 시장 안정화를 꾀한다는 구상이다.
미 경쟁당국의 이 같은 대응을 두고 현지 전문가들은 해운과 항만 분야에 집중돼 있던 공급망 담합 이슈가 트럭 창고 3자물류 최종구간(라스트마일)배송 전반으로 확대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미국 법률회사인 홀란드앤드나이트의 제럴드 모리시(Gerald Morrissey) 파트너변호사는 “내륙운송은 그동안 큰 관심을 받지 않았지만 공급망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며 “미국 법무부의 이번 조치로 반경쟁법 면제 대상인 해운사나 항만터미널업체 대신 공급망에 참여하는 이들 기업이 고객이나 경쟁업체의 비판에 직면할 수 있을 것”이라고 프레이트웨이브는 보도했다.
<출처: 코리아 쉬핑가제트>





댓글